매뭘 70만원 납입 후 5년 뒤 통장에 5000만원 "청년 목돈 마련 재테크"
금융권에서 가장 뜨거운 화제 중 하나로 떠오른 청년도약계좌!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던 이 상품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도우며 높은 금리와 정부 지원 혜택으로 많은 청년들의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함께 일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혜택과 한계, 그리고 최근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며, 왜 지금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고려해볼 만한 시기인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의 등장 배경과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중장기적인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출시 첫 달에만 70만 명이 넘는 신청자가 몰리며 그 인기를 증명했습니다. 이 상품은 최고 연 6%의 고정금리 적용과 함께 정부 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 청년도약 계좌 효과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만기에 ‘본인 저축액+정부기여금(월 최대 2만4000원·최대 6%)+은행 이자’에 해당하는 금액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 "월 70만원씩 5년간 적금하면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
2. 청년도약계좌의 초기 한계와 개선 내용
초기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길고, 가입 조건의 까다로움, 그리고 다른 금융상품 대비 금리 매력도가 낮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지적을 받아들여 만기 이전 중도해지 시에도 혜택을 보장하고 가입 문턱을 낮추는 등의 보완책을 내놓았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관련 주요 제도개선 사항(정부 개선 내용)
정부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2021년부터 다음과 같은 개선 조치를 단계적으로 시행했습니다.
가. 가구소득 요건 완화
• 변경사항: 가구소득 요건이 기존 180%에서 250% 이하로 개선됨.
• 적용시기: 3월 가입신청 기간(2월 22일 ~ 3월 8일)에 신청한 청년부터 적용.
• 참고: '22년 기준 중위소득 250%의 예시
나. 중도해지 지원 강화
• 조건: 청년도약계좌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 혜택: 비과세를 적용하고 정부기여금도 매입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하도록 추진.
• 추가정보: 비과세 적용 관련 조세특례제한법 개정(24년 추진), 정부기여금 지급 내용은 확정 후 추가공지 예정.
다. 특별중도해지 사유 추가
• 추가 사유: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과 '출산'이 추가됨.
• 혜택: 해당 사유에 해당하여 특별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 지급.
• 기존 사유: 주택구입, 기업의 파산, 사업장의 폐업, 기업의 부도, 질병 및 부상 등.
라.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 가능
• 대상: 소득기준(본인 소득 확인) 충족 및 군 복무 여부가 확인된 청년으로 중위소득 250%를 초과하지 않는 자.
• 가입혜택: 별도의 혜택 없음, 가입 가능 여부만 규정.
3. 청년도약계좌의 변화된 메리트
최근 은행 예적금 금리가 하락하면서 청년도약계좌의 메리트가 더욱 커졌습니다. 3년간 최고 연 6%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 다른 재테크 수단과 비교해도 높은 편에 속합니다. 여기에 예금자보호까지 받을 수 있어 원금 손실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가까운 금융기관 방문 또는 금융기관 전자금융서비스 이용
- 신청가능 금융기관 : 하나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중앙, 광주은행, 부산은행, 제주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네이버페이뱅크, 토스뱅크, 원익저축은행, 신협중앙회, 새마을금융협동조합
맺음말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재테크 상품입니다. 초기의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속적인 개선 조치와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그 메리트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금리 하락 추세를 고려할 때, 고정금리와 정부 지원 혜택을 활용해 가입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청년들에게는 안정적인 자산 증식의 기회를, 금융권에는 새로운 고객층 확보의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 지금이야말로 가입을 고려해볼만한 최적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청년 여러분!!, 여러분의 미래를 위한 첫걸음을 청년도약계좌와 함께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요?